인간의 정신에 거대한 진리가 흐르던 시절이 있었다. 그 흐름은 때로 종교의 모습으로, 도덕적 규율로, 사회체제의 형태로 시시각각 변화하며 인간의 삶을 휘감았다. 부유하는 낱낱의 생각은 이상(理想)의 이름 아래 하나로 엮여 보편화된 가치를 지향했다. 그러나 문명이 진보를 이루어 내길 끝없이 강구하면서,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의식은 점차 그 커다란 소용돌이로부터 해방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현대인의 일상에서 그리 동떨어진 이야기가 아니다. 작은 예로,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개인의 대다수는 TV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가공되고 통제된 정보를 공급받고 수용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등장, 군소 매체와 SNS의 발달은 정보의 제공처를 집단에서 개인으로 전이시켰고, 수용자 또한 각자의 기호에 맞춰 정보를 취사선택하는 모습이 이제는 훨씬 익숙하다. 더는 대다수가 예전처럼 하나의 지점만을 응시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원화된 시대는 다양성의 활성화와 개성에 대한 존중 등 긍정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고립과 단절, 소외의 정서가 만연하다는 상반된 평가 역시 받는다. 혹자는 부정적 면모에 대해 그것이 ‘코로나 사태’와 같은 전 지구적 불행을 겪고 난 이후 더욱 심화됐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 필요성의 유무를 떠나, 더는 옛 시절처럼 많은 것을 아우르는 하나의 구심점이 등장하기란 좀처럼 쉽지 않아 보인다. 발터 벤야민이 지적했던 ‘아우라(Aura)의 몰락’이 우리 대에 본격적으로 도래했음이다.
《HYPER IMPRESSIONISM》전은 이렇게 분열을 거듭하는 상황 속에서 파편화된 예술의 간극을 이으려는 의도를 품고 기획되었다. 현대의 미술은 소위 ‘동시대 미술(Contemporary art)’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양식이나 개념적 특성보다 단순히 시기에 중점을 둔 특색 없는 칭호다. 이는 너무도 동시다발적으로 산출되고 미시화(微視化)된 작금의 미술 흐름을 어떠한 거대 담론으로 포착하기 힘들다는 점에 기인한다. 본 프로젝트가 인상주의(Impressionism)의 명칭을 표방한 것은 현대미술의 출발점이라 평가받는 인상주의와 그것이 내포했던 의미에 관심을 기울여, 이 혼란한 시대에 다시금 뿌리를 되짚기 위함이다. 이것은 다양성과 포스트모더니티(post-Modernity)에 대한 맹목적인 부정이 아니다. 그보다 멈출 줄 모르는 분화로부터 특정 지점 설정하고 이를 ‘함께’ 응시함으로써 혼돈을 이해하며, 크고 작은 저마다의 가치를 병치하려는 노력이다.
본 프로젝트에 참여한 예술가들과 기획자들은 과거 인상주의자들이 그러했듯, 개인적이고 고립된 공간인 작업실(Atelier)에서 벗어나 자연의 품으로 향하여 사생과 사색을 행했다. 활동이 이뤄질 만한 장소에 있어 그들이 주목한 곳은 ‘산’이었다. 이는 전시를 주최하는 대구광역시의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예술가 및 기획자 무리는 비슬산, 앞산, 팔공산 등 대구의 대표적인 세 명산을 오르내리며 개개인의 행위와 생각을 공유하였다. 관객들은 이번 전시를 통하여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13명의 예술가가 공통의 시작점으로부터 어떤 관점을 취하고 교류하며 서로 관계를 맺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